베네수엘라. 최악의 경제상황에 직면하다.


매일 아침 : 역대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면?


마치 만화나 소설, 영화에서나 나올 법할 일들이 지금 베네수엘라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신생아들을 위한 베드가 없어 종이상자에 갓 태어난 아이들을 보관하며, 배급을 받기 위해 하루종일 줄 서있는 모습은 마치 북한에서도 저 먼 끝땅에서나 있을 법한 이야기들입니다.


베네수엘라의 경제붕괴로 지난 5월 그동안 지속적으로 대립해왔던 반정부, 친정부간의 데모는 결국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비상선포를 하게끔 유도되었는데요.



지금까지도 정부와 대통령에 대한 시위와 국민들의 노력은 진행중입니다.

엎친데 겹친 격으로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의 무능함을 탄핵하려는 국민들의 투표를 파기하였고 베네수엘라에서 경제뿐 아니라 민주주의 자체가 붕괴되고 있는 모습이 고스란히 전 세계에 노출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지난 토요일 미주기구의 사무총장인 루이스 알마그로는 독재로 시민들의 권리를 박탈하였다면서 이제까지의 민주주의의 붕괴를 확신한다라고 발언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극심한 인플레이션 현상이 지속되어 더욱 살기 힘든 나라가 될 것이다라는 베네수엘라


산유국인 베네수엘라가 어쩌다 이런 지경에 도달하게 되었는지 그 네가지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1. 3년에 이르는 경기침체


올해 역시 10% 경제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 IMF의 보고서처럼 몇년 째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효과로 인하여 2019년, 앞으로 3~4년이나 더 침체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니 어쩌면 국가부도가 나는 가능성도 점점 다가오는 듯 합니다.




2014년 베네수엘라의 화폐인 볼리바르는 100 : 1 즉, 1달러는 100볼리베르였습니다만,

2016년 현재 1달러당 1262볼리베르가 되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께서 중고등학교 학창시절 경제학 혹은 세계사시간에 배운 세계대공황을 기억하고 계실 겁니다. 빵 한조각을 사기 위해 리어카에 돈을 잔뜩 싣고 가는 그 흑백사진이 아직도 기억이 나네요.

오늘 베네수엘라가 바로 그러한 형태를 맞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복지에 대한 과도한 지출, 제대로 되지 않은 공장시설과 농장에 대한 관리는 이러한 위기를 야기했습니다.



  2. 석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석유매장국인 베네수엘라는 2014년 급락한 오일가격으로 타격을 입기 시작합니다. 

문제는 대체재가 있는 타 산유국과는 달리, 이 오일만이 베네수엘라에게 수익을 가져다주는 유일한 것이었다는 점입니다.


95% 이상에 육박하는 엄청난 비율의 석유의 가격은 2014년 배럴당 100달러에서 오늘 날 50달러 인근까지 떨어졌고, 가까운 미래에 26달러까지 내려갈 전망이라고 합니다.


엎친데 겹친격으로 베네수엘라는 그동안 유전, 석유사업의 발전을 등한시 하였기 때문에 오일의 퀄리티가 낮고 현금캐시카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다라는 것입니다.


결국 베네수엘라 정부의 대표적인 무능한 사례라고 평가받아지고 있습니다.



  3. 의료시스템의 붕괴와 식품가격의 급등


계속 다운되고 있는 석유가치임에도 식료품들을 엄격하게 가격통제를 하는 등의 규제를 했던 정부덕분에 식료품의 수입이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2016년 상반기, 베네수엘라의 식품수입량은 전년도 대비 50% 아래로 떨어졌으며, 극심한 식량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현재 정부의 가격통제가 중지되었지만, 너무 높은 가격에 이를 구입할 염두가 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하네요.


또한 체계적이지 않은 의료시스템은 국민들을 죽음이라는 결과로 몰고가기도 합니다.


  4. 현금의 부족


그동안 베네수엘라에서는 석유를 담보로 많은 빚을 지고 있었습니다만 더이상 이를 제대로 납부할 현금자산이 부족합니다.

2017년 기준으로 150억 달러의 빚이 있음에도 베네수엘라 중앙은행은 단지 11.8억 달러만을 보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정부는 채무를 지불하기 위해 금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네요.


모든 지표는 빠르게 악화되고 있고, 가까운 시일안에 이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라는 미국의 위원회 부사장의 말처럼 베네수엘라의 최악은 당분간 매일 갱신될 듯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