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대통령의 뒤를 이을, 올 상반기 최대 이슈였던 대선에서 승리한 문재인 대통령은 적폐청산, 국민통합과 함께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늘 강조했었습니다.

특히, 세월호 사건 등 정부의 시스템 오류로 인한 피해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높아지는 것을 의식했던 것인지, 초등학생들의 생존수영 의무화를 공약으로 삼았었는데요.

수상에서 각종 사고상황에 직면했을 시를 대비에 기본적인 호흡법과 영법을 배워 구조대에게 안전하게 구조될 때까지 효율적으로 체력안배 등 생존을 위한 방법을 배우는 생존수영은 이미 영국과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의무화 교육으로 오래전부터 가르치고 있었다고 하죠.

특히 영국의 경우 생후 6개월이후로 꾸준히 수영을 익혀서인지 익사율이 세계에서 제일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대한 체력소모를 방지하면서 오랫동안 바다(물)위에서 버틸 수 있는 생존수영은 누구나 쉽고 즐겁게 익힐 수 있기에 초등학생들이 즐겁게 익히기에 안성맞춤인데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학교인근의 수영장 시설이 적고, 매뉴얼 된 교육지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공약이 실천되기 위해선 장기적으로 모든 학교의 수영가능한 시설을 지원하는 쪽으로 가야한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제반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임시적인 시설이나 헬스장 등의 민간 시설과 제휴를 맺는 방법으로 단기적인 정책도 동반해야겠죠.

이미 많은 아이들이 생존수영을 익히고 있고, 그 덕에 큰 사고를 면한 소식이 종종 전해지고는 합니다.

그간 많은 사건사고에서 우리나라는 안전에 대한 명확하지 않은 시스템적 오류와 이를 처리하는 과정이 매끄럽지 않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미리 예방하거나 피해를 줄이기는 커녕 오히려 자연적인 사고들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인재가 계속해서 발생해왔습니다.

그리고, 가장 최근 세월호 사건을 통해 그 수준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온 국민이 체감을 하게 되었죠.

경제와 돈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경제학적 논리는 불필요하다는 가치관에 적극 동의하며, 앞으로 우리나라를 만들어갈 어린 아이들의 생존수영의무화 교육이 빨리 시행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