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고인을 모시는 추모관에 잠시 머물고 있다보니, 봉안제, 천도제, 49제 등 장례, 제사와 관련된 용어들이 흔히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특히 저를 포함해서 고인을 기리는 제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보통 '제' 자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이 있으나, 실제로는 모두 재계할 재(齋)를 사용하여 봉안재, 천도재, 49재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사십구재, 혹은 7일씩 7번 기린다고 하여 칠칠일(칠칠재)라고도 불리는 까닭은 오랜기간 우리 민족의 정신적 사상이었던 유교의 조상숭배와 불교의 윤회사상이 적절하게 모아진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특히 불교의 지장보살님께서 하신 말씀인

[(생략) 죽어서 모든 이가 7.7 49일 안에는 업보를 받지 않았다가 49일이 지나면 비로소 업에 따라 과보를 받나니, 만일 죄인이 이 과보를 받으면 천백세중에서 헤어날 길이 없나니 마땅히 지극한 정성으로 49재를 베풀어 공양하되 이같이 하면 목숨을 마친이나 살아있는 권속들도 함께 이익을 얻으리라] 

위 구절을 통해 49제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 인간은 죽은지 49일, 즉 7일씩 7번의 심판을 받게 되고, 49일 째 되는 날 자신이 살면서 지어온 업과 덕을 토대로 지옥(육도에서 말하는 축생, 아수라, 아귀, 지옥도)로 떨어질 지, 혹은 다시 인간의 몸을 받거나 천상계라고 불리우는 곳으로 갈 지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고인의 가족들은 이 기간동안 돌아가신 분이 지옥으로 떨어지지 않고 극락으로 갈 수 있도록 극진히 정성을 기리는 것이 바로 사십구재일 것입니다.

현재 경주 법화세계추모관에서 지내다보니 많은 고인들과 유가족분들을 뵈면서 그동안의 죽음, 장례에 대해 가졌던 가치관이 많이 변하게 되었습니다.

"'살아있을 때 잘해야지. 죽은 후 잘해봐야....'

라는 생각으로 오랜기간 살아온 제가 이 곳에 내려와 있으면서

[가족 혹은 지인이 저렇게 슬퍼하고 애도하며, 극락왕생을 바라는데, 어찌 나쁜 곳으로 갈 수 있을까?]

라는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미 세상에 없는 사람을 위해 고가의 고급진 안치단을 구매하고, 49재, 천도재, 봉안재 등의 각종 재를 기릴 뿐만 아니라 매일 같이 오셔서 사진과 각종 추억이 담긴 물품들을 넣었다 빼며, 약간의 음식들을 가져와 고인이 모셔진 자리 앞에서 한참을 앉아서 애도하시다 가는 많은 유가족분들....

각자 수많은 사연을 가지고 있는 슬픔을 마음껏 표출하고는 또 그렇게 추모관을 나오며 직원들에게 잘 돌봐달라며, 감사함을 전하는 분들의 이러한 마음을 어찌 위에서 모른 척 할 수 있을까요.


죽은 이에게 이승의 가족이나 물품에 대한 잘못된 애착심을 바로잡아주고, 증유기간이 지난 49일째 과보를 통해 업과 윤회의 굴레의 중요한 시점을 맞이하게 되는 고인을 위해 살아있는 가족들이 유일하게 마지막으로 해줄 수 있는 49재의 의미와 뜻을 이해한다면 단지 불교인들의 종교적 행사로만 치부할 것은 아님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